2024년도 이제 5일만을 남겨두고 있네요. 체인지메이커 여러분의 2024년은 어떠했나요?
올해도 매거진 루트임팩트와 함께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처음 함께하게 된 분들도, 오랜 시간 꾸준히 함께해 주신 분들도 모두 모두 고맙습니다. 루트임팩트는 올 한 해도 임팩트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꾸준히 달려왔습니다. 크고 작은 변화의 현장을 매거진 루트임팩트를 통해 전해드렸는데요. 2024년 마지막 매거진 루트임팩트는 올해를 되돌아보며 지난 1년간 루트임팩트의 이야기를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
|
|
- 경력보유여성의 새로운 출발을 도왔던 리부트캠프 8기: 2021년부터 진행해 온 리부트캠프는 결혼, 출산 및 육아,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잠시 일터를 떠나 있지만, 이전의 경력을 살려 다시 일하고자 하는 경력보유여성들의 커리어 재시작 발판을 마련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올해로 8기까지 잘 마무리한 리부트캠프의 이야기 전해드렸습니다. [링크]
- 비영리 조직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IP1 기금 2023 임팩트 리포트: 루트임팩트는 임팩트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자선 자본을 중심으로 기금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난 2022년 조성된 IP1 기금이 첫 임팩트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IP1 기금이 시작된 이유와 선정 조직의 자세한 이야기를 소개해드렸습니다. [링크]
- 2024 체인지메이커 컨퍼런스: 2017년부터 진행해 온 체인지메이커 컨퍼런스는 여러 분야의 체인지메이커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자리였는데요. 2023년부터는 성동구 문화창조산업축제 ‘크리에이티브X성수’와 함께 진행하며,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한 담론을 다루고 체인지메이커들의 협력과 성장을 위한 네트워킹의 장으로 마련했습니다. 올해는 HGI, JUMP를 비롯한 여러 조직들과 함께 'AI와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내일'을 주제로, AI의 사회적 책임과 영향력에 대해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습니다. [링크]
- 마법같은 변화를 만드는 체인지메이커, 이스린 펠로우십: 판타지 소설 『반지의 제왕』 보셨나요?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마법사 조직을 뜻하는 단어 ‘이스린’에서 따온 이스린 펠로우십은 세상의 마법같은 변화를 만들기 위해 체인지메이커 개인을 지원하는 펠로우십 프로그램입니다. 이스린 펠로우들과 이들이 진행하고 있는 공동 프로젝트 소식 가볍게 전해드렸습니다. [링크]
|
|
|
- 임팩트닷커리어 리브랜딩: 청년들이 자신만의 임팩트 커리어를 찾고 이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루트임팩트의 임팩트캠퍼스는 더 나은 사회를 꿈꾸는 청년들의 열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임팩트닷커리어’로 새롭게 탈바꿈했습니다. “내 가치관이 스펙이 되는 커리어”라는 멋진 슬로건도 함께 탄생했는데요. 사업의 리브랜딩을 고민하고 계신 실무자나, 임팩트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은 청년분들, 혹은 최근에 임팩트닷커리어의 팬이 되셨다면(♥️) 임팩트닷커리어 리브랜딩 이야기를 한번 더 살펴보셔도 좋겠습니다. [링크]
|
|
|
- 다양하고 포용적인 공간, 헤이그라운드 ‘점킷’ 개발: 헤이그라운드는 체인지메이커들이 일하는 커뮤니티 오피스답게 모두가 편히 일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헤이그라운드는 누구나 쉽게 만드는 점자 표지판, ‘점킷’을 만들었습니다. 공간 내 접근성을 고려하기 위해 휠체어 이용자를 위해 문을 여닫이 문에서 자동문으로 고치고 휠체어 충전소를 마련하는 등 여러 시도를 해왔지만, 제품 개발은 또 새로운 도전이었는데요. 플라스틱 쓰레기의 지속가능한 순환구조를 만드는 프래그(노플라스틱선데이)와 출판을 넘어 장애 인식 개선과 교육의 격차를 해소하는 도서출판 점자와 함께한 점킷 개발 과정을 전해드렸습니다. [링크]
- ‘우리가 그리는 포용적인 일터’ DEI Lab 세미나: 루트임팩트는 일터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기 위한 한 가지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조직마다 실현 가능한 ‘포용적인 일터’의 모습은 다를 수밖에 없기에, 각 조직의 고유한 상황에 맞춘 실험 설계와 운영을 지원하는 DEI Lab 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인데요. 5개의 조직이 이 실험에 함께했고 참여 조직들의 실험 결과를 공유하며, 우리 사회가 당면한 DEI 과제를 논의하는 DEI Lab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링크]
- 사회문제 해결도 AI와 함께, AI for Changemakers: 올 한해 내내 Chat GPT, 디지털 교과서, 딥페이크 등 AI가 뜨겁게 논의되었죠. 그렇지만 막상 AI 기술을 업무에 적용해 본 경험이 없으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도 한데요.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을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비영리 조직 등 임팩트 지향 조직이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AI 포 체인지메이커를 운영했습니다. 해당 교육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춘천, 제주 등 총 13개 지역에서 진행되며 참가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AI를 활용하고 조직 내에서 확산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링크]
|
|
|
뉴스레터에 다 담지 못했지만, 올해 이런 활동들도 있었어요.
루트임팩트의 2024년은 새로운 도전과 함께 내실을 더욱더 단단히 다졌던 한 해였습니다. 루트임팩트의 더 많은 소식이 궁금하다면 언제든 루트임팩트 저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 매거진 루트임팩트는 매년 연초에 재정비의 시간을 가지고 있어요. 더 알찬 소식들을 전해드리기 위해 고민해서 새로워진 매거진 루트임팩트로 2025년 3월에 돌아오겠습니다. 한해 마무리 잘 하시고 내년에 만나요.
|
|
|
💡 위기의 시대, 비영리에서 기회를 찾다 ㉒ 사단법인 섬즈업 윤승철 대표이사·홍종호 운영이사
[루트임팩트X소셜임팩트뉴스] 퀴즈타임! 다음 중 우리나라 섬 이름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①유부도 ②장고도 ③소안도 ④삽시도 ⑤노화도 ⑥탄도 ⑦정답없음
|
|
|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이번 달 '매거진 루트임팩트'는 어땠나요? |
|
|
루트임팩트
rootimpact@rootimpact.org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 1나길 5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G205 02-6495-0180
기획/편집 루트임팩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팀 일러스트 Lim kiihwan
|
|
|
|